헷갈리는 자동차 종합검사 vs 정기검사! 차이점과 과태료 기준까지 한눈에 정리
자동차 소유자라면 꼭 받아야 하는 자동차 검사
하지만 “종합검사와 정기검사, 뭐가 다른 거지?” 하고
헷갈려하시는 분들 정말 많습니다!
오늘은 이 두 가지 검사의 차이점과 함께,
검사를 받지 않았을 때 부과되는 과태료 기준까지 알려드릴게요.
---
1. 정기검사란?
✅ 모든 차량이 일정 주기마다 받아야 하는 기본 검사입니다.
검사 항목: 안전기준 적합 여부, 배출가스 상태 등
검사 주기: 보통 2년마다 한번씩이지만 차종 및 용도에 따라 다름 (예: 화물차는 1년 또는 6개월)
전국 모든 검사소(한국교통안전공단/민간)에서 가능

---
2. 종합검사란?
✅ 환경부가 지정한 ‘대기환경규제지역’에 등록된 차량을 대상으로
정기검사 외에 배출가스 정밀검사 항목이 추가된 검사입니다.
검사 항목: 정기검사 + 배출가스 정밀검사
검사 장소: 종합검사 가능 공단 및 민간 검사소에서만 가능
대상 여부 확인: 한국교통안전공단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

---
3. 나는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하나요?
내 차량이 대기환경규제지역(서울, 수도권, 대도시 등)에 등록되어 있다면
→ 종합검사 대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그 외 지역은 대부분 정기검사 대상입니다.
🔍 한국교통안전공단 사이버검사소(cyberts.kr)에서 조회 또는 전국 검사소 전화 문의

---
4. 검사 안 받으면 과태료?!
자동차 검사는 법으로 정해진 시기에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.
만약 검사 기한을 넘기면?
⏱️ 30일 이내 지연 시: 4만 원
⏱️ 31일 이후: 3일 초과마다 2만 원씩 추가
❌ 최대 과태료는 60만 원!
→ 종합검사, 정기검사 모두 동일하게 과태료 부과 기준 적용됩니다.
---
⚙️ 정기검사: 기본 안전점검
🌫️ 종합검사: 배출가스 + 정밀 점검 추가
❗ 대기환경지역 차량은 종합검사 대상
⛔ 검사 미이행 시 최대 60만 원 과태료
✅ 검사일자는 등록증에서 간편 조회
---
정기검사와 종합검사,
혼동하지 않고 제때 검사받아 과태료 걱정 없이 안전운전 하시기 바랍니다!